분류 전체보기98 [자료구조] Vector - ArrayList와 비슷한 성질(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함)을 가지고 있다. - ArrayList와 다르게 동기화를 제공한다. - 동기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안전(Thread Safe) 하며 이로 인해 낮은 성능을 보인다. 생성 import java.util.Vetor; Vector vector1 = new Vector(); // 타입 지정 Vector vector2 = new Vector(); // 타입 생략 가능 Vector vector3 = new Vector>(10); // 초기 용량(Capacity) 설정 Vector vector4 = new Vector (10, 10); // 초기 용량, 증가량 설정 Vector vector5 = new Vector (vector1); //.. 2023. 11. 6. [자료구조] Stack -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나중에 나오는 LIFO(Last In First Out) 구조 - 스택의 크기만큼 데이터가 꽉 차서 데이터를 넣지 못할 때 → Overflow - 스택이 비어있는데, 데이터를 꺼내려고 하는 경우 → Underflow 생성 import java.util.Stack; //import Stack stack = new Stack(); // int형 스택 선언 Stack stack = new Stack(); // char형 스택 선언 추가 및 변경 Stack stack = new Stack(); // int형 스택 선언 stack.push(1); // stack에 값 1 추가 stack.push(2); // stack에 값 2 추가 stack.push(3); // stack에 값 3 추가.. 2023. 11. 6. [자료구조] ArrayList - 가장 대표적인 List형태의 자료구조이다. - 이어 쓰고 읽기에 가장 적합한 구조이다.(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사용) - ArrayList의 크기는 자동으로 조정된다. - 동기화를 제공하지 않는다. ArrayList 생성 import java.util.ArrayList; ArrayList integers1 = new ArrayList(); // 타입 지정 ArrayList integers2 = new ArrayList(); // 타입 생략 가능 ArrayList integers3 = new ArrayList(10); // 초기 용량(Capacity) 설정 ArrayList integers4 = new ArrayList(integers1); // 다른 Collection값으로 초기화 ArrayList i.. 2023. 11. 3. [자료구조] 자료구조형 Collection이란? 객체의 모음, 그룹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. - 일괄된 API : 일괄된 API를 사용하여 Collection 밑에 있는 모든 클래스들이 상속을 받아 통일된 메서드를 사용한다. - 프로그래밍 간편화 :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추상화 개념이 구현되어 있다. - 속도 및 품질 향상 : 최상의 구현을 생각할 필요 없이 Collection API를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. List Interface - 정렬된 객체 컬렉션을 저장할 수 있는 목록 데이터이다. Set Interface - 중복 값을 저장할 수 없는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 모음이다. - 중복을 방지하고 고유한 데이터만 저장해야 하는 경우 사용된다. SortedSet Interface - Set Interface와 유.. 2023. 11. 3. 이전 1 ··· 7 8 9 10 11 12 13 ··· 25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