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55 [JavaScript] 제어문 - 제어문(control flow statement) :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 반복 실행 할 때 사용하거나 코드의 실행 흐름을 인위적으로 제어한다. (1) 블록문(block statement) -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 (2) 조건문(Conditional statement) - 주어진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문의 실행을 결정 - boolean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 - if...else, swtich - if...else문은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실행할 코드 블록을 결정 if(조건식 1){ //조건식 1이 참이면 이 코드 블록 실행 } else if(조건식2){ //조건식 2이 참이면 이 코드 블록 실행 } else { //조건식 1,2가 모두 거짓이면 이 .. 2023. 9. 27. [JavaScript]연산자 (1) 산술 연산자 - 사칙 연산을 다루는 연산자이다. -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된다. - 덧셈(+), 뺄셈(-), 곱셈(*), 나눗셈(/), 나머지(%) (2) 대입 연산자 - 변수에 값을 대입할 때 쓰이는 이항 연산자이다. - +=, -=, *=, /=, %= var x = 10; console.log(x+=5); // x = x + 5 -> 15 console.log(x-=5); // x = x - 5 -> 10 console.log(x*=5); // x = x * 5 -> 50 console.log(x/=5); // x = x / 5 -> 10 console.log(x%=5); // x = x % 5 -> 0 (3) 증감 연산자 - 1씩 증가 혹은 감소시킬 때 사용하는 연산자 -.. 2023. 9. 26. [JavaScript]데이터 타입 (1) 동적 타입 - JavaScript의 변수는 어떤 특정 타입과 연결되지 않으며 모든 타입으로 할당 및 재할당 가능합니다. let wan = 42; // wan의 데이터 타입은 숫자 wan = 'gi'; // wan의 재할당으로 인해 데이터 타입은 문자열 wan = true; // wan의 재할당으로 인해 데이터 타입은 boolean (2) JavaScript의 타입 - 원시 값 (객체를 제외한 모든 타입은 불변 값이며, 이런 타입을 원시 값이라 한다.) Boolean (true, false) Null (object) : 어떤 값이 의도적으로 비어있음을 표현하는 것이다. →boolean에서는 false로 취급한다. Undefined (undefined) : 선언 이후 값을 할당되지 않음을 표현하는 것.. 2023. 9. 25. [JavaScript] 기본 문법 (1) 변수 - var : 변수를 선언. 추가로 동시에 값을 초기화할 수 있다. var 변수명; // 변수 선언 var a, b, c; // 변수 여러개 동시 선언 var x = 42; // 변수 선언 동시에 값을 할당 x = 30; // 값 재할당 var x = 21; // 변수 재선언 - let : 블록 범위(Scope) 지역 변수를 선언. 추가로 동시에 값을 초기화할 수 있다. 변수 재선언이 불가능하다. 재할당이 가능하다. let 변수명; // 변수 선언 let a, b, c; // 변수 여러개 동시 선언 let x = 42; // 변수 선언 동시에 값을 할당 x = 30; // 값 재할당 let x = 11; // (Error) 재선언을 할 수 없다. - const : 블록 범위 읽기 전용 상수를.. 2023. 9. 25. 이전 1 ··· 10 11 12 13 14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