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00

[JavaScript] Strict mode (1) Strict mode란 - 암묵적 전역이 발생하면 오류가 자주 일어나므로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에러를 발생시켜 주는 방법이다. - 즉, 엄격하게 문법 검사를 하겠다 라고생각하면된다. (2) Strict mode 선언 - 스크립트의 시작 혹은 함수의 시작 부분에 "use strict"를 선언하면 활성화가 된다. 'use strict'; // 스크립트 전체에 strict mode가 적용된다. function foo() { x = 10; // error x의 키워드를 작성하지않았다. } foo(); function foo() { 'use strict'; // 함수 몸체의 선두에 추가하면 해당 함수와 중첩된 내부 함수에 strict mode가 적용된다. x = 10; // error x의 키워드를.. 2023. 10. 16.
[JavaScript] 스코프(Scope) (1) 스코프(유효범위)란 - 참조 대상 식별자를 찾아내기 위한 규칙이다. - 전역 스코프와 지역 스코프로 나뉜다. - 전역 스코프(어디서든지 참조 가능) → 전역 변수(전역에 선언된 변수) - 지역 스코프(함수 코드 블록, 함수 자신, 하위 함수에서만 참조 가능) → 지역 변수(함수 내에서 선언된 변수) var a = 'wangi'; // 전역변수 function x() { var b = 'eddy'; // 지역변수 console.log(a); // 'wangi' console.log(b); // 'eddy' } x(); console.log(a); // 'wangi' console.log(b); // error b는 지역변수 (2)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방법 - 동적 스코프와 렉시컬 스코프 두 가지.. 2023. 10. 16.
[JavaScript] 프로토타입 (1) 프로토타입 객체란 - JavaScript의 모든 객체는 자신의 부모 역할을 담당하는 객체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모 객체를 prototype이라 한다. - 생성자 함수에 의해 생성된 각 객체에 공유 프로퍼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한다. - .prototype은 변수._proto_로 접근할 수 있다. 또한 변수.prototype은 함수만 가능하다. var a = 22 console.log(a.__proto__ === Number.prototype); // true console.log(a.prototype === Number.prototype); // false function b(x) { this.x= x; } var c = new c ('test'); console.log(b.__proto__.. 2023. 10. 13.
[JavaScript] 함수 (1) 함수란 - 작업을 수행하거나 값을 계산하는 코드 집합을 의미한다. - 코드 재사용에 유용하다. ​ (2) 함수 선언 - 함수는 함수의 이름, 매개변수 목록, 중괄호 안의 코드, return으로 이루어져 있다. - 상황에 따라 함수의 이름을 생략할 수 있다. 이를 익명 함수(함수 표현식)라 한다. - 함수를 변수나 자료 구조에 저장할 수 있다. function a(x) { // 함수 선언식(이름있는 함수) int b = x * x; return b; } console.log(a(2)); // 4 var test = function(x){ // 함수 표현식(이름 없는 함수, 익명함수) int b = x * x; return b; } console.log(test(3)); // 9 ////////함수를.. 2023. 10. 1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