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00

[JavaScript] 객체 변경 불가성 (1) Immutable Value - JavaScript의 원시 타입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. - 객체 타입은 변경 가능한 값(mutable value)이다. - 변경 불가능한 값이란 메모리 영역에서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. var a = 'Hello'; // string은 immutable value a = 'world'; // 즉, hello의 문자열이 변경이 되는 것이 아니라 world, hello 각각 메모리에 할당된다. var information= { name: 'eddy', age: '26' }; var myname = information.name; // 변수 myname은 string 타입이다. information.name = 'wangi'; console.log(myname); .. 2023. 10. 11.
[JavaScript] 객체 (1) 객체 - 키와 값을 가지는 프로퍼티(property)로 구성되어 있으며, 프로퍼티의 값이 함수일 경우, 이를 메소드라 한다. - 프로퍼티를 열거할 때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. - 프로퍼티를 중복 선언 할 수 없다. - 프로퍼티 키는 문자열이나 symbol값이 지정되며 이외의 값은 암묵적으로 타입이 문자열로 변환된다. - 객체의 생성 방법 (리터럴, Object(), 생성자 함수) //-------리터럴----- var a = { name : "wangi", age : 26 } console.log(typeof(a), a); // object {name: "wangi", age: 26} //-------Object()---- var b = new Object(); // Object 생성자 함수 b... 2023. 10. 4.
[JavaScript] 타입변환과 단축평가 (1) 묵시적 타입 변화(자동 타입변환) - 특정 타입의 값을 기대하는 곳에 다른 타입의 값이 오면, 자동으로 타입을 변환되는 것이다. var x = "14", y = 20; var a = x + y; console.log(typeof a, a); // string, 1420 a = x - y; console.log(typeof a, a); // number, -6 a = x * y; console.log(typeof a, a); // number, 280 (2) 명시적 타입 변환 - 사용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것이다. - Number( ) : 문자를 숫자로 변환한다. - String( ), .toString() : 숫자나, 불린 등을 문자형으로 변환한다. - Boolean( ) : .. 2023. 9. 27.
[JavaScript] 제어문 - 제어문(control flow statement) :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 반복 실행 할 때 사용하거나 코드의 실행 흐름을 인위적으로 제어한다. ​ (1) 블록문(block statement) -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 ​ (2) 조건문(Conditional statement) - 주어진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문의 실행을 결정 - boolean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 - if...else, swtich - if...else문은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실행할 코드 블록을 결정 if(조건식 1){ //조건식 1이 참이면 이 코드 블록 실행 } else if(조건식2){ //조건식 2이 참이면 이 코드 블록 실행 } else { //조건식 1,2가 모두 거짓이면 이 .. 2023. 9. 27.